
구로차량기지는 1974년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일대에 조성된 전동차 수리·점검소입니다. 소음,진동, 도시 단절 등으로 인해 구로구민들의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어 `05년 수도권발전종합대책에 외곽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습니다. 이후 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되어 이전이 검토되고 있으나, 그 과정에서 광명시의 요구사항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중앙정부는 국책사업이라고 해서 일방적으로 추진하면 안됩니다.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하게 소통하여 추진하여야 합니다. 친환경 탄소중립도시 광명이 구로차량기지를 떠안을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구로구의 골칫덩이를 광명시에 떠넘기는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사업 추진에 반대합니다!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을 반대하는 이유
- 지역 균형개발이라는 공공성과 형평성에 맞지 않는 사업이다.
- ‘2016년 구로차량기지 이전사업 타당성 재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구로차량기지 이전의 목적은 구로차량기지 부지의 활용과 소음·분진·지역단절이라는 구로구의 민원을 해소하기 위한 것임.
- 구로구는 이 사업으로 민원도 해결하고, 지역개발까지 도모할 수 있는 편익을 누림. 하지만 광명시민 입장에서는 새로 만들어지는 신도시 한복판에 혐오시설이 들어서는 것. 이는 구로구의 민원을 광명시로 전가하는 것일 뿐임.
- 도덕산·구름산 산림축 단절, 노온정수장 오염 등 환경 피해가 발생한다.
- 구로차량기지가 이전되면 분진·소음·진동 피해가 심각해지며, 광명시의 허파인 도덕산·구름산 산림축이 단절됨.
- 또한 인근 250m 이내에 광명·시흥·부천·인천시민 86만여 명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노온정수장이 있어 식수 오염의 가능성이 있음.
- 사업 추진 과정에서 광명시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 광명시는 그간 차량기지 복개와 2개역 추가설치 등을 요구해왔으나, 기획재정부는 요구사항을 반영할 시 사업 타당성이 확보되지 않는다(B/C=0.8)며 3개역 신설, 차량기지 미복개 안으로 타당성 재조사를 완료했음.
- 차량기지를 수용해야 하는 광명시의 요구를 반영할 시 사업 타당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사업을 추진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인 수순임. 그러나 기획재정부는 광명시의 요구를 반영하지 않고, 사업 타당성이 확보될 수 있는 조건으로 타당성 재조사를 진행함. 광명시민의 일방적인 희생을 요구하는 중앙정부의 사업 추진을 수용할 수 없음.
[우리의 요구]
√ 구로차량기지 이전 계획 전면 백지화